변광성(Variable Star)은 시간에 따라 밝기가 변하는 별을 의미합니다. 변광성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밝기가 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주기적일 수도 있고 비주기적일 수도 있습니다. 변광성은 크게 두 가지 주요 범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내재적 변광성과 외재적 변광성.
1. 내재적 변광성
내재적 변광성은 별 자체의 내부 요인으로 인해 밝기가 변하는 별입니다. 이러한 별들은 자체적인 물리적 변화(예: 팽창과 수축, 맥동 등)로 인해 밝기가 변동합니다.
a. 맥동 변광성
이 유형의 변광성은 주기적인 팽창과 수축을 통해 밝기가 변합니다.
- 세페이드 변광성(Cepheid Variables): 이들은 매우 규칙적인 주기를 가지며, 주기와 광도 사이에 관계(Leavitt 법칙)가 있습니다. 따라서 세페이드 변광성은 우주 거리 사다리의 중요한 도구로 사용됩니다.
- RR 라이리 변광성(RR Lyrae Variables): 주로 구상 성단에서 발견되며, 주기가 짧고 밝기가 비교적 작습니다.
b. 불규칙 변광성
이 유형의 변광성은 비주기적으로 밝기가 변합니다.
- 적색 거성 및 초거성: 이들은 대류와 맥동 등의 이유로 인해 불규칙하게 밝기가 변합니다.
2. 외재적 변광성
외재적 변광성은 별 외부 요인으로 인해 밝기가 변하는 별입니다. 이러한 별들은 다른 천체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밝기가 변동합니다.
a. 식쌍성 변광성
이 유형의 변광성은 두 개의 별이 서로를 공전하면서, 한 별이 다른 별 앞을 지나갈 때 밝기가 감소합니다.
- 알골형 변광성(Algol Variables): 두 별이 서로를 주기적으로 가리며 밝기가 변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알골(Algol) 별이 있습니다.
b. 회전 변광성
이 유형의 변광성은 별이 회전하면서 표면의 밝기 변화(예: 별의 흑점 등)로 인해 밝기가 변합니다.
- BY 드라코니스 변광성(BY Draconis Variables): 흑점 활동으로 인해 밝기가 변동합니다.
3. 변광성의 관측 및 연구
변광성의 밝기 변화를 관측하고 분석함으로써 천문학자들은 별의 물리적 특성과 내부 구조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변광성의 주기와 밝기 변화를 통해 별의 크기, 질량, 온도 등을 추정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은하의 구조와 우주 거리 측정에도 활용됩니다.
예시
- 세페이드 변광성: 주기-광도 관계를 통해 은하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 식쌍성 변광성: 두 별의 궤도 특성을 분석하여 별의 질량과 크기를 추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변광성은 시간에 따라 밝기가 변하는 별로, 내재적 변광성과 외재적 변광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내재적 변광성은 별 자체의 내부 요인으로 인해 밝기가 변하며, 외재적 변광성은 외부 요인으로 인해 밝기가 변합니다. 변광성의 연구는 천문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별의 물리적 특성 이해와 우주 거리 측정 등에 널리 활용됩니다.
'세계의 신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밤 하늘은 왜 깜깜할까? (0) | 2024.09.04 |
---|---|
엔트로피와 우주 (0) | 2024.08.30 |
은하는 어떻게 모양이 정해 지는가 (0) | 2024.08.06 |
허블텐션(Hubble Tension) (0) | 2024.07.29 |
지구 자전이 반대 방향이 된다면? (0) | 2024.07.28 |